할 일 목록(To-Do List) 작성의 비밀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할 일 목록(To-Do List) 작성의 비밀
할 일 목록이 길수록 불안만 커진다면, 방식이 문제일 수 있습니다. 좋은 To-Do List는 단순한 메모가 아니라 실행 설계도입니다. 이 글에서는 우선순위, 시간 추정, 맥락 태깅, 마감 관리까지 바로 적용 가능한 실전 작성법을 소개합니다.
1) 결과가 아닌 행동으로 적기
“보고서 마무리”는 결과입니다. 목록에는 “서론 300자 작성”, “도표 2개 삽입”처럼 바로 시작할 수 있는 동사로 적으세요. 작업이 작을수록 착수 시간이 줄고 완료율이 높아집니다.
2) 우선순위는 3단계로만
- A(오늘 반드시): 미루면 손실이 생기는 일 3개 이하
- B(오늘 하면 이득): 상황 따라 수행
- C(대기/보류): 자료 부족, 승인 대기
알파벳 3단계만으로도 결정 피로가 크게 줄어듭니다. A는 캘린더에 시간 블록으로 고정하세요.
3) 시간 추정 붙이기(⏱)
각 항목 끝에 [15m]
, [30m]
처럼 예상 소요 시간을 적습니다.
총합을 내 하루 가용 시간과 비교하면 과도한 계획을 걸러낼 수 있습니다.
4) 맥락(Context) 태그로 빠른 배칭
집중이 필요한 일과 이동 중 처리 가능한 일을 구분하세요. 예) #집중
, #전화
, #이메일
, #외근
.
비슷한 맥락을 묶어서(batch) 처리하면 전환 비용이 급감합니다.
5) 마감과 시작 트리거
마감일(Due)만 쓰면 늦기 쉽습니다. 시작 트리거(Start)를 같이 적어 초기 지연을 막으세요. 예) “A견적 초안 [Start: 화 10:00 / Due: 목 17:00]”.
6) 오늘 목록은 8개 이내
하루에 처리할 수 있는 현실적 한계를 인정하세요. Top 3 + 보조 3~5개가 적정선입니다. 나머지는 백로그로 이동합니다.
샘플 템플릿(복사 사용)
[오늘 Top 3] A1. ________ [__m] #맥락 Start: __:__ Due: __:__ A2. ________ [__m] #맥락 Start: __:__ Due: __:__ A3. ________ [__m] #맥락 Start: __:__ Due: __:__ [보조 작업] B1. ________ [__m] #맥락 B2. ________ [__m] #맥락 B3. ________ [__m] #맥락 [대기/보류] C1. ________ (대상/사유)
체크리스트: 작성 → 실행 → 리뷰
- 작성: 동사로 시작 · 시간 추정 · 맥락 태깅 · 시작/마감 표기
- 실행: 캘린더 블록 · 포모도로(25/5) 적용 · 알림 최소화
- 리뷰: 하루 말에 미완료 원인 기록(추정 오류/방해/범위 과다) → 다음 날 조정
자주 하는 실수와 해결법
- 항목이 너무 큼: 10분 안에 시작 가능한 마이크로 태스크로 분해
- 끝없는 목록: 오늘 목록과 백로그 분리, 주간에만 백로그 재검토
- 동시 처리: 맥락별 배칭, 메시지 확인 시간대 고정
- 마감만 표기: 시작 시간까지 예약, 캘린더 알림 10분 전
FAQ
Q. 회사 일과 개인 할 일을 한 목록에 섞어도 되나요?
A. 데이터베이스는 하나로 두되, 보기(View)는 업무/개인/오늘 전용으로 분리하세요. 맥락 태그로 필터링하면 깔끔합니다.
Q. 앱과 종이, 무엇이 더 좋나요?
A. 팀 협업·반복 일정은 앱, 아이디어 스케치는 종이가 빠릅니다. 혼합 사용하되 최종 목록은 한 곳으로 통합하세요.
마무리
To-Do List는 해야 할 일을 쌓는 곳이 아니라, 완료를 설계하는 도구입니다. 오늘부터 동사 기반 작성, 3단계 우선순위, 시간 추정, 맥락 태깅, 시작/마감 관리만 적용해 보세요. 목록은 짧아지고, 완료는 빨라집니다.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댓글
댓글 쓰기